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용과 충족이론

media/communication

by 끄트머리 사무실 2013. 7. 16. 11:16

본문

반응형

[이용과 충족이론]

 

이용과 충족이론은 이론이라고 불려지기도 하지만,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한 하나의 접근방법. 내지 연구모델 이라고도 볼 수 있다.

 

1. 이용과 충족이론이란 무엇인가

 

이용과 충족이론은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있어 능동적인 수용자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전개된 이론이다. 1959E. Katz에 의해 처음으로 제시된 이 연구는 '매스 미디어가 사람들에게 무엇을 하느냐'라는 기존의 입장에서 탈피, '사람들이 매스 미디어를 가지고 무엇을 하느냐'라는 수용자의 입장에 초점을 맞추었다.

 

2. 제기 배경

이용과 충족이론이 Katz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기 전에도 이러한 연구 입장에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연구한 학자들은 있었다. 이미 1940년대에 록펠러 연구 재단의 기금에 의해 설립된 라디오 보고서 중 하나인 '라디오와 인쇄물'이라는 보고서는 라디오의 사회적 영향을 인쇄 매체와 비교하여 설명하려고 시도했던 최초의 이용과 충족실태에 관한 일련의 조사 연구였다. 그리고 라디오 방송의 고전음악 청취자들의 그 청취 동기와 이용 패턴을 연구, 라디오 연속방송극의 청취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청취동기와 충족감을 조사 연구한 바 있다.

현대적 의미의 이용과 충족이론이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1959년부터이다. 1959년대 말 선별효과이론 내지 소 효과이론이 크게 대두되고, Berelson에 의해 '커뮤니케이션 연구 분야는 시들어가고 있다.'는 비관적인 견해가 나오자 당시의 입장에 반발하며 Katz에 의해 제시된 것이 '이용과 충족'의 연구 입장이다. 이는 매스미디어의 이용에 초점을 둔 수용자 중심의 모형을 통해서 보면, 미디어는 최소한 그 이용자들에게는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3. 이용과 충족 접근의 기본 가정

 

이 이용과 충족 이론의 기본 가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자는 능동적인 존재로서 미디어 이용은 대부분이 목적 지향적이다. 이것은 대부분의 매스미디어 접촉 유형이 미디어 내용에 대한 수용자의 기대에 의해 결정 된다는 것이다.

둘째, 매스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수용자가 욕구 충족과 관련된 미디어 선택의 결정권을 갖는다. 따라서 수용자의 태도와 행동에 대한 매스미디어의 내용이 직선적 효과를 갖는다는 이론화에는 명백한 한계점이 따르고 있다.

셋째, 미디어는 욕구 충족에 이용되는 다른 정보원들과 경쟁한다. , 미디어가 수용자에게 유일한 욕구 충족 원이 아니므로 여러 다른 기능적 대안들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방법론적으로, 많은 매스 미디어를 이용하는 목적이 수용자 자신에 의해 제공된 자료로부터 파생되어진 것일 수 있다. , 수용자들은 경우에 따라서 자신들의 관심과 동기를 표현 할 만큼 자기를 알고 있으며, 적어도 그 흥미나 동기가 합당하고, 또 그들에게 친숙한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기 인지적 사람들에 의해 제공되는 자료에서 추출해 야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문화적 의미에 대한 가치 판단은 수용자들의 경향이 그들 자신의 입장에서 아직 탐색적인 동안에는 유보되어야 한다. “ 이용과 충족의 접근 방법과 대중 문화에 대한 사색적인 글 사이의 어떤 유사성과 상반 성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가정의 시각으로부터 연유된다. 물론, 5가지 중 앞의 3가지는 이론적인 가정이고 뒤의 2가지는 방법론에 관한 것이다.

 

4. 이용과 충족 이론의 비판

 - 욕구, 동기, 만족 등과 같은 주요 개념들이 명확하게 정교화 되지 못하다.

 - 이용과 충족 연구자들간에 이들 개념들을 사용하는데 차이가 있다.

 - 수용자의 능동성 개념에 수동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 유용성이 없다.

 - 미디어 현상을 빠르고 쉽게 캐치하기에 좁은 이론이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이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그만큼 여러 가지의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 이다. 그 중요한 의의는 첫째, 매스미디어의 선별효과 이론을 퇴조시키고 그 대신 중 효과이론 들을 대두시키는데 있어서 그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이고 둘째, 이 이론이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연구의 시각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는 점, 그리고 이 이론 또는 접근방법의 학문적 가치, 즉 일반이론으로서의 타당성 여부가 가장 큰 문제로 남아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접근 방법으로든 하나의 구체적 이론으로 발전해 나가든 우선,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고찰해야하며 또한, 수용자가 처해 있는 사회구조적 상황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

'media > commun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제설정 이론  (0) 2013.07.05
프레이밍 효과이론  (0) 2013.07.05

관련글 더보기